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경매/부동산 관련지식

지적편집도 보는방법, 토지용도지역

by 뗀뗀네모 2022. 9. 15.
반응형

우리가 토지거래나 경매 등 참여하기 전에 반드시 알아봐야 할 것은 토지이용에 대한 분석이다. 기본적인 내용이다. 토지가 용도지역으로 세분화되어있어 용도지역별로 잘 알고 있어야 나중에 사용방법에 대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토지는 전체적으로 사용계획으로 운영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해서 법률로 제정되어 있다. 그래서 우리는 땅을 개발하고 싶다고 마음대로 할 수가 없다. 당신은 어떤 땅인지 알고 그에 맞게 개발해야한다. 사용면적은 모든 토지에 따라 다르다. 용도지역이 없는 땅은 없다. 다만 두가지 이상의 용도가 겹치는 부분도 있다. 이럴 때일수록 계산을 많이 해야한다.

 

먼저 용도지역을 통해 어떤 지역인지 파악하고 다음으로 용도지구라는것이 있다. 이것에 따라서 더 규제가 강화되거나 또는 부가이용 구역과 지구를 보완하는 시스템이다. 

1. 제1종 전용 주거지역

이제 제1종 전용 주거지역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전적인 정의에서는 단독주택을 중심으로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역이라고 정의한다. 크게는 전용주거지역과 일반주거지역 그리고 준주거지역으로 그 목적이 구분된다. 전용주거지역에는 제1종 전용주거지역과 제2종전용주거지역이 있다. 오늘은 제1종 주거지역에 대해서 알아보자. 제1종 전용주거지역의 경우 단독주택의 용도지역이다. 제2종 전용 주거지역은 공동주택 중심의 용도지역이다. 그렇다면 제1종 단독주택은 1식구가 거주하는 단독주택이 모여있는 곳이다. 그래서 상업지역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

 

2. 제1종 전용 주거지역의 건폐율과 용적률

그럼 제1종 전용주거지역의 경우 건폐율과 용적률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경매를 통해 토지를 낙찰받아 나중에 수익화를 하려면 개발, 즉 건물을 올려야 하고 건폐율과 용적률을 알아야 한다. 우리는 전체 토지에 건설된 토지의 비율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있다. 그래서 전체 바닥 면적의 몇퍼센트를 쌓을 수 있는지 이야기 해보자. 건축비율이 100평에서 30%라면 30평만 지을 수 있고 용적률이 100%라면 30평짜리 3층과 10평짜리 4층 한층을 더 지을 수 있다. 참고로 지층은 용적률에 포함되지 않는다. 

 

3. 기타사항

전용주거지역에는 일반주거지역과 함께 일조권이 보장되어야 하는 지역이 있다. 그래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건물을 지어야 한다. 특히 이 지역에서는 높이가 9M가 넘는 건물이 있어서는 안된다. 그래서 건물마다 짓는 한계높이가 있기 때문에 이런 건물과 용적률 등은 도시관리과에 문의해야한다. 그리고 개발 활동을 하기위해서는 자동차가 지나갈수있는 도로의 폭이 중요하다. 그래서 허가를 받으려면 4M이상의 도로를 확보해야한다. 이런 점들을 감안해서 앞으로 부동산 투자에 성공적으로 투자 했으면 한다.

 

다음글은 오늘 알아본 제1종 전용주거지역에 이어서 제2종 전용주거지역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이 두번째 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공동주택과 관련하여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위해서 설치된 구역이다. 따라서 단독주택이 아닌 다세대주택과 공동주택들이 많은 지역이다. 부동산에 투자할 때 낙찰받은 토지에 어떤 건물을 넣을 수 있는지, 당첨된 빌라나 건물이 어떤 지역인지에 따라 다양한 출구전략을 구성 할 수있다. 하지만 어떤 지역을 쓰는지도 모른 채 낙찰받은 뒤 계획대로 수익화를 실현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당신은 이러한 부동산에 대해서 계속 공부해야한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내 집이 어떤 지역에 있는지 어떤 용도지역인지도 알아보면 재미있을 것 같다. 

반응형

댓글